본문 바로가기
지식 및 꿀팁 공유

[과학이슈] 초전도체 LK-99 에 관한 이슈 알아보기

by 지식과 지혜 2023. 8. 1.
반응형

 2023년 7월 대한민국에서 상온 상압 초전도체 LK-99을 개발하였다는 소식이 인터넷에 공개되면서, 과학계에 큰 이슈가 되고 있습니다. 위 사항이 진실인지, 혹은 거짓인지 과학적인 검증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되는 상황이며 빠른 시일 또는 너무 늦지 않은 시일 내에 과학계의 검증이 이루어질 것으로 보입니다. 오늘은 초전체가 무엇인지, 현재 이슈가 되고 있는 사항을 알아보는 글을 작성하고 합니다.


<글 작성 순서>
1. 초전도체란?
2. 상온 상압 초전도체 LK-99이란?
3. 현재 이슈중인 사항들
초전도체란?

 - 초전도체란 전기가 흐르는 전도체 이면서 저항이 0 이 되는 초전도 현상과 마이스너 효과가 발생하는 물질.
 - 전기저항이 0이 의미하는 것은 에너지 소모가 없다는 의미로, 만약 해당물질이 발견된 게 사실이라면 현재 우리의 실생활을 모두 바꾸어 놓을 수 있을 만큼의 큰 발견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현재 초전도체를 활용하여 생활에 적용 중인 대표적 제품은 MRI 기계를 말할 수 있으나, 적용 가능한 분야는 무궁무진하게 많을 것입니다. 전력망 그리드, 자기부상열차, 반도체와 같은 영역에서 빠르게 적용될 것이며, 장기적인 관점과 과학적 기술로 물체를 공중에 띄워 고정시킬 수 있다고 합니다. 초전도 현상이 최초 발견된 것은 1911년이며 당시에는 절대온도 4K에서 발견되었기에 실생활에 적용되는 것은 불가능했습니다. 또한 초전도 현상이 나타나는 것은 과학적 발견이 되었으나, 이를 과학적 이론으로 증명 및 설명하는 부분은 현재까지도 제한적입니다. 따라서 이번에 발표된 눈문 역시 과학적 이론으로 설명하는 것이 아닌 초전도체 LK-99를 만드는 방법과 적용한 실험 결과를 발표하는 내용입니다. 
 따라서, 상온 상압의 초전도체는 과학계가 100년 넘계 연구하고 찾고자 하는 물질이며, 발견된다면 노벨 물리학상을 받을 것이 확실한 물질입니다.

상온 상압의 초전도체 LK-99이란?

 - LK-99이라는 이름은 대한민국의 과학자 이석배 씨와 김지훈 씨의 영문 이니셜 "L"& "K", 그리고 1999년부터 연구개발을 시작해서 "99"라는 명칭으로 정하였다고 알려지고 있습니다. 
 - 상온 상압 초전도체를 발견했다고 현재(2023년 7월 말) 발표한 퀸텀에너지연구소는 논문사전공개 사이트인 아카이브를 통해 해당내용을 발표했으며, 그 직후 전 세계 응용물리학계가 해당 논문에 대한 검증이 이루어지고 있는 과정입니다.
- 1999년 고려대학교 최동식 교수 연구실에서 시작한 LK-99은 2008년 이석배 과학자가 퀀텀에너지연구소를 설립하고 해당물질을 발견하고자 지속적으로 연구가 이루어졌습니다.  주요 발명자 중 1명인 김지훈 과학자의 말을 빌리면 1천 번의 실험을 통해 해당 물질을 발견하였다고 합니다.
- 초전도체 영역에서 가장 핵심은 상온, 상압의 조건입니다. 초전도체 현상을 오래전에 발견되었으나 극한의 조건에서만 이루어진 현상으로 실생활에 활용하는데 매우 제한적이었습니다. 하지만 이 발견이 검증되고, 만약 실생활에 적용될 수 있는 상온, 상압의 조건이라면 LK-99 물질은 과학계 100년의 최대 발견으로 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현재 이슈 중인 사항들

 - 해당 물질이 발견되었다고 논문이 공개되고 특허 출원까지 신청되었으나, 아직 과학계는 회의적인 반응을 보이고 있습니다. 과학계가 회의적인 이유는 첫째, 상온 상압의 초전도체 물질 발견이 그만큼 대단한 발견이라는 점. 둘째, 과학계의 동료 검증이 현재 이루어지지 않은 점. 셋째, 논문의 작성 방식, 문구, 발표방식 등이 타 논문들과 상이했던 점을 주요 이유로 뽑을 수 있습니다. 다만 해당 논문에서 해당물질을 만드는 방법이 구체적으로 작성되었으며, 그 방법 또한 해당 영역의 과학자라면 쉽게 재현 가능한 영역(방법) 임에 따라 전 세계 과학자들의 검증 및 평가가 곧 발표될 가능성이 높다는 점입니다. 
 - 본 글이 작성되는 시점 (2023년 8월 1일)에도 과학계에서 해당 소식에 대한 추가 소식들이 뉴스를 통해 공개되고 있습니다. 

반응형

댓글